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론

[과교론] 오슈벨의 유의미학습 이론

<오슈벨의 유의미학습 이론>

 

 

1. 학습의 정의와 유형

  - 정의 : 학습은 인지구조의 변화

  - 유형

학습 과제의 측면

유의미 학습

학습 내용이 의미있게 학습자와 연결되고 인지구조가 변함

기계적 암기학습

학습과제가 임의적으로 연결되고 언어적으로 내면화함

학습자의 입장과

관련된 측면

수용학습

학습과제가 최종형태로 모두 제시됨

안내된 발견학습

교사가 도움을 주며 발견학습을 진행

자율적 발견학습

학습자 스스로 학습내용을 발견함

 

 

 

2. 유의미 학습의 특성

 

 -
학습 내용이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의미있게 연결되며 인지구조가 변하고 새로운 의미가 형성됨

 - 획득한 지식은 조직적이고 종합적인 지식 체계를 이룸

 - 관련 있는 후속학습의 내용을 의미있게 연결하는 고정개념의 역할을 하는 지식 형성

 - 유의미 학습의 결과는 기계적 암기학습의 결과보다 더 오랫동안 파지됨. 

 

3. 유의미 학습의 종류

 

1) 표상학습 : 단일 부호나 단의의 의미 혹은 그것이 나타내는 피상적 속성의 지각으로 기계적 암기

                   학습에 가까운 학습 형태

 

2) 개념 학습 : 개념형성 + 개념 동화

   - 개념형성 : 사물, 사건 등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준거 속성을 나타내는 개념의 획득

   - 개념동화 : 기존의 개념에 새로운 예가 더해지거나 준거속성 및 정의가 바뀌는 것

 

3) 명제 학습 : 명제의 형식으로 표현된 새로운 의미가 인지구조에 연결되는 학습, 통합적이고 포괄적

                  인 개념 간의 연합에 대한 학습


 

4. 유의미 학습의 조건

 

1) 학습과제 : 실사성과 구속성이 있으면 논리적 유의미가가 있다고 할 수 있음.

- 실사성 : 표현 방식에 상관없는 본질적 속성

- 구속성 : 임의적으로 맺어진 관계가 하나의 관습으로 되어 임의적으로 변할 수 없는 것.

 

2) 인지구조

- 어느 한 시점에서 학습자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개념, 원리 및 이론 등으로 이루어진 학습자의 현재 지식체계.

- 유의미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습과제와 연결시킬 수 있는 인지구조를 학습자가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 조건이 채워지면 잠재적 유의미가가 있다고 할 수 있음.

- 학습자의 선행학습 경험, 나이, IQ, 직업, 사회적 지위,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름

 

3) 학습의향 : 학습하려는 의도, 성향, 열의로서 채워지면 심리적 유의미가가 있다고 할 수 있음.

  

  → 세 가지 조건이 모두 채워지면 유의미 학습이 일어날 수 있음.


 

5. 동화설

 

1) 동화(assimilation)

 - 잠재적 유의미가를 지닌 학습과제가 인지구조의 관련 관념에 연결되는 과정

 - 인지구조에 고정되어 있는 개념에 새로운 의미가 저장되는 과정

 - 연결된 관념이 소멸되거나 망각되는 과정  → 즉 간단히 유의미 학습이 일어나는 과정

 

2) 동화의 유형

 - 점진적 분화 : 인지구조에 있는 개념과 명제가 위계적으로(상위→ 하위)  더욱 정교화되는 유의미 학습, 포섭이라고도 함.(상관적 포섭+파생적 포섭)

 - 통합적 조정 : 하위 개념들이 상위 개념에 통합되거나 관련된 관념들 사이의 유서성과 차이점 등을 학습하는 과정, 상위적 학습과 병위적 학습이 포함된다. 보통 인지적 부조화를 느낄 경우 해소하기 위해 일어남.

 

6. 동화설에 의한 유의미학습 유형

 - 학습 내용이 인지구조에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인지적 학습

 

1) 하위적 학습 : 학습과제가 그보다 더 포괄적인 인지구조에 결합하는 학습

  - 파생적 포섭 : 선행개념의 준거 속성은 변하지 않고 그 예만 늘어남.
  -
상관적 포섭 : 선행개념의 준거 속성이 변함

 

2) 상위적 학습

  - 학습과제가 더 하위적인 선행관념들과 연결되는 학습

  - 보통 관념적이고 추상적 개념을 배울 때 일어나는 학습, 예) 포유류

 

3) 병위적 학습

  - 일반성과 포괄성이 같은 수준의 학습과제가 인지구조와 연결되는 학습

  - 예시 ) 저항-전류-전압, 퇴적암-화성암-변성암 순으로 배우는 식

 

7. 유의미 학습 이론의 적용

 

1) 선행조직자

- 학습과제보다 더 추상적, 일반적, 포괄적인 자료로서 학습과제와 선행지식을 연결해주는 기능을 함.

△비교선행조직자 : 선행 개념들 간의 변별도를 증가시켜 선행 개념들 간의 관계를 드러냄으로써

                         선행개념들을 연결시키는 인지적 다리의 역할

설명선행조직자 : 학습과제가 생소하고 학생들이 선행개념을 가지지 않은 내용에 대해

                             관념적 부착 역할을 함으로써 학습과제가 효율적으로 통합될 수 있게 함.


 

 

❋ 인지적 다리와 관념적 부착지에 대한 나의 생각

 

- 학습이전 관련된 개념인 A~E가 머릿속에 혼재되어 있다고 가정할 경우 학습한 이후에는 이 개념들이 체계적으로 정리가 되어야 한다고 하자.

- 학습 이후 완성된 개념 체계를 볼 때 각 개념들을 연결하는 (나)의 역할이 ‘비교선행조직자’로 사용된 ‘인지적 다리’라고 할 수 있다. 직관적으로 다리가 잘 연상된다.

- 한편 E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E와 관련한 무언가를 제시한다면 그것은 (다)에 위치하게 되고 설명조직자에 해당한다. 관념적 부착지라는 용어도 (다)자리에 개념 대신 포스트잇으로 사진이나 영상을 집어넣는다면 직관적으로 잘 이해가 된다.

- (나)에 의해 전체적 관계가 분명하게 드러나고 명확해진다는 점에서 볼 때 비교선행조직자가 통합적 조정의 원리를 수행한다고 할 수 있으며, (다)에 의해 기존 개념 B가 더 확장되고 세분화된다는 점에서 점진적 분화의 원리를 확인할 수 있다.

- 다만, 과학교육론 책에서 관념적 부착지가 하위적 학습(포섭)에서 사용된다는 설명에는 약간 의문이 드는 것이 C,D,E의 각각 개념을 알고 있을 경우 B에 대해 학습하는 상황(상위적 학습)에서도 A라는 기존에 잘 알고 있는 선행조직자를 도입하여 관념적 부착지의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런 경우 A는 C~E와 직접적 관련이 있기 보다는 비슷한 예로서 등장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 예시를 들어보면 B를 포유류, C~E를 고양이, 개, 사자라고 할 경우 포유류를 학습하기 위해 A(파충류)의 예를 들 수 있다. 도마뱀, 악어, 뱀 등의 동물들을 파충류라고 하듯이 고양이, 개, 사자 등을 포유류라고 한다, 는 식으로 설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내 생각에 명확한 관계가 있을 경우 사용되는 인지적 다리에 비해 관념적 부착지는 보다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고 의미를 확장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라 생각한다.


 2) 개념도

 - 개념체계, 지식의 구성요소들을 관련성에 따라 위계적, 수평적으로 나타낸 것

 - 개념, 법칙, 이론들과의 관계 및 분화정도, 지식체계의 핵심적 요소들을 파악하는데 유용함.

 - 가장 포괄적, 추상적인 것은 맨 위에 두고 하위로 갈 수록 구체적인 것을 둠


 3) 인식론적 V

 - 과학지식이 발달하는 과정과 그에 대응되는 심리적 변화과정을 나타냄

 - 방법론적 측면 : 개인적 지식을 획득하는 과정

 - 이론적 측면 : 과학지식이 일반화 되는 과정

<인식론적 V 예시>

 

반응형